Economic Freedom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모두를 위한 실용 투자 가이드. 공모주 청약부터 연금(IRP, ISA), ETF 투자 전략까지, 성공적인 재테크를 위한 가장 현실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PER, PBR, ROE? 주식 초보를 위한 핵심 투자 지표 3가지, 1분 만에 끝내기

주식 투자, PER, PBR, ROE가 도대체 무슨 뜻인지 궁금하신가요? 주식 초보자가 기업의 가치를 판단하기 위해 꼭 알아야 할 3가지 핵심 지표를 1분 안에 이해시켜 드립니다.
돋보기로 PER, PBR, ROE 투자 지표를 들여다보는 이미지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입니다.

주식 종목 토론방에 들어가면 '이 주식은 저평가다', 'PER이 너무 높다' 같은 알 수 없는 말들이 오고 가죠. 오늘은 주식 투자를 시작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가장 기본적인 3가지 지표를 딱 1분 안에 이해시켜 드릴게요!

핵심 지표 3가지, 이것만 기억하세요

1. PER (주가수익비율): "이 회사는 버는 돈에 비해 싼가?"

PER은 회사가 1년 동안 번 돈(순이익)에 비해 주가가 몇 배로 평가받고 있는지를 나타내요. 예를 들어 PER이 10이라면, 내가 투자한 원금을 회사가 벌어들이는 순이익으로 회수하는 데 10년이 걸린다는 뜻입니다. **일반적으로 PER이 낮을수록 주식이 저평가**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2. PBR (주가순자산비율): "회사가 망해도 이 정도는 건진다?"

PBR은 회사가 가진 순수한 재산(순자산)에 비해 주가가 몇 배인지를 보여줘요. 만약 PBR이 1이라면, 현재 주가와 회사의 1주당 자산 가치가 같다는 의미입니다. 만약 **PBR이 1보다 낮다면, 지금 당장 회사가 망해서 모든 재산을 나눠줘도 내가 투자한 돈보다는 더 많이 돌려받을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죠.

3. ROE (자기자본이익률): "이 회사는 돈을 얼마나 잘 버나?"

ROE는 회사가 가진 돈(자기자본)으로 얼마나 효율적으로 돈을 벌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익성' 지표입니다. ROE가 20%라면, 100억의 자본으로 1년에 20억의 이익을 냈다는 뜻이죠. **일반적으로 ROE가 높을수록 '장사를 잘하는' 유능한 회사**라고 평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