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 포인트로 자동차세, 재산세 등 각종 세금을 납부하는 방법을 아시나요? '카드로택스'를 이용한 포인트 세금 납부 방법을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
자동차세, 재산세, 종합소득세... 매년 어김없이 찾아오는 세금 고지서에 현금 지출이 부담스러우셨나요? 하지만 신용카드를 사용하며 차곡차곡 쌓아둔 포인트로 이 세금을 낼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더 이상 포인트를 쇼핑이나 외식에만 사용하지 마세요. 지금부터 잠자고 있던 내 카드 포인트를 깨워 세금까지 납부하는 가장 스마트한 재테크 방법을 '카드로택스'와 '위택스'를 중심으로 알기 쉽게 알려드립니다.
1. 국세는 '카드로택스', 지방세는 '위택스'만 기억하세요!
포인트로 세금을 내기 전, 내가 내야 할 세금이 '국세'인지 '지방세'인지 구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사용하는 사이트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
국세 납부 👉
카드로택스 (Cardrotax)
종합소득세, 부가가치세, 상속세 등 국가에 내는 세금은 국세청에서 운영하는 '카드로택스'를 이용합니다. -
지방세 납부 👉
위택스 (Wetax)
자동차세, 재산세, 주민세, 취득세 등 내가 거주하는 지방자치단체에 내는 세금은 행정안전부에서 운영하는 '위택스'를 이용합니다. (서울시 거주자는 ETAX 이용)
즉, 자동차세와 재산세를 포인트로 내고 싶다면 '위택스'에 접속해야 합니다.
2. 따라만 하세요! 포인트로 세금 납부 A to Z (위택스 기준)
자동차세 납부 과정을 예시로 포인트 납부 방법을 단계별로 알려드립니다. 카드로택스도 과정은 거의 동일하니 쉽게 따라 하실 수 있습니다.
-
위택스(www.wetax.go.kr) 접속 및 로그인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나 금융인증서, 간편인증 등으로 로그인합니다. -
납부할 세금 조회 및 선택
메인 화면에서 '납부하기' 메뉴를 통해 조회된 자동차세, 재산세 등 납부할 세금 내역을 선택합니다. -
결제 방법에서 '신용카드' 선택
'회원납부' 또는 '타인납부'를 선택한 후, 결제 방법에서 '신용카드'를 선택합니다. -
카드사 선택 후 '포인트 사용' 체크 ✅
결제할 카드사를 선택하면 결제 창이 뜹니다. 이때 가장 중요한 '포인트 결제' 또는 '포인트 사용' 항목을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 -
사용할 포인트 입력 및 결제 완료
사용할 포인트를 직접 입력하거나 '전액 사용'을 선택합니다. 포인트가 세금보다 부족할 경우, 포인트만큼 차감된 나머지 금액만 카드대금으로 청구됩니다.
3. 꼭 알아두세요! 포인트 세금 납부 Q&A
Q1. 수수료는 없나요?
A: 포인트 사용 자체에 대한 수수료는 없습니다. 하지만 신용카드로 세금을 납부할 경우, 납부 금액의 0.8%가 카드 납부 수수료로 함께 결제됩니다. 이는 포인트 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카드 납부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Q2. 어떤 포인트든 다 사용할 수 있나요?
A: 대부분 1포인트=1원으로 현금처럼 쓸 수 있는 포인트(KB국민 포인트리, 마이신한포인트 등)는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단, 현대카드 M포인트의 경우, 반드시 H-Coin으로 미리 전환해 두어야 세금 납부에 사용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Q3. 가족의 세금을 제 카드로 대신 내줄 수도 있나요?
A: 네, 가능합니다. 위택스나 카드로택스의 '타인 세금 납부' 메뉴를 이용하면, 고지서에 기재된 전자납부번호 등만 입력하여 가족이나 타인의 세금을 내 카드로 납부하고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결론: 세금 납부도 스마트한 포인트 재테크의 시작
카드 포인트로 세금을 납부하는 것은 더 이상 일부만 아는 비밀이 아닌,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한 금융 습관입니다. 어차피 내야 할 세금, 잠자고 있는 포인트를 활용해 현금 지출을 줄여보세요.
다음 세금 납부 기간이 오기 전에, 미리 내 카드 포인트를 확인하고 스마트한 절세 계획을 세워보는 것은 어떨까요?